본문 바로가기

관리 메뉴

데이터 통신(2) - 캡슐화 본문

Networking

데이터 통신(2) - 캡슐화

ITst 2024. 4. 25. 21:11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상위/하위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 계층에서 프로토콜 등을 정의하는 헤더 정보를 추가하거나 제거해야 하는데, 이렇게 데이터 앞에 헤더를 추가하는 것을 캡슐화라고 하고 헤더를 제거하는 것을 역캡슐화라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캡슐화와 역캡슐화를 어떻게 진행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캡슐화, 역캡슐화

  • 캡슐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각 네트워크 계층에서 필요한 헤더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가 상위/하위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 역캡슐화: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받을 때, 각 계층의 헤더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원래의 데이터 형태를 복원하는 과정입니다.

캡슐화, 역캡슐화의 필요성

  • 네트워크 계층 간 통신을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헤더)를 추가하고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 각 계층의 프로토콜이 정의한 헤더 정보를 활용하여 통신이 가능합니다.
  • 프로토콜 간 통신 규약을 준수하고, 효율적인 프로토콜 구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OSI 모델에서의 캡슐화, 역캡슐화 

OSI 7 계층 캡슐화, 역캡슐화

  1. 응용/표현/세션 계층: 웹 사이트 요청 데이터에 상위 계층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제거합니다.
  2. 전송 계층: TCP/UDP 헤더를 추가/제거합니다.
  3. 네트워크 계층: IP 헤더를 추가/제거합니다.
  4. 데이터 링크 계층: 프레임 앞에 헤더, 데이터 끝에 트레일러를 추가/제거합니다.
  5. 물리 계층: 비트스트림이 최종적으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송수신됩니다.

 

TCP/IP 모델에서의 캡슐화, 역캡슐화 

  1. 응용 계층: 웹 사이트 요청 데이터에 응용 계층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제거합니다.
  2. 전송 계층: TCP/UDP 헤더 추가/제거합니다.
  3. 인터넷 계층: 데이터 앞에 앞에 IP 헤더, 데이터 끝에 트레일러를 추가/제거합니다.
  4. 네트워크 접속 계층: 최종적으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송수신됩니다.

'Net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y Server  (0) 2024.06.24
[TS] TCP connections 증식 이슈  (0) 2024.05.02
[TS] 무한 리다이렉션 오류  (0) 2024.04.30
데이터 통신(1) - OSI 모델, TCP/IP 모델  (0) 2024.03.15
Comments